본문 바로가기
Language/Español

스페인어 Conjugation (동사활용) 총정리

by 님 침스키 2021. 10. 21.

 

스페인어 학습자에게 고통을 주는 스페인어 동사변형.. 이름하야 CONJUGATION.

사실 스페인어뿐 아니라 굴절어를 배우는 모든 학생들에게 고통이겠지 ;ㅅ;

할 때마다 낯선 요놈들을 약 한달 남은 SNULT 전에 한 번은 정리하고 넘어가야겠단 생각으로 정리해본다.

 

암튼 대략적인 순서는 다음과 같을 예정

참고로 티스토리의 표 만들기가 거지같은 건지.. 내가 익숙하지 않은건지.. 아무튼 거지같이 느껴졌기 때문에 본인이 네이버 블로그에서 만들었던 표를 캡쳐하여 첨부했다.

 

Contents

자급자족형 정리이기 때문에 최대한 나한테 필요한 모든 부분을 다루도록 하겠지만..

솔직히 모든 변화형을 다루기는 어려운 게 사실이기 때문에 내가 애용하는 페이지의 링크도 남겨 둔다.

https://www.spanishdict.com/conjugation

 

말 그대로 모든 conjugation 형태를 다루고 있기 때문에 처음 보는 동사 변형이 나왔을 때 검색해 보기에 좋다!

네이버 사전보다 훨씬 깔끔하게 표로 정리되어 있어서 애용하는 사이트.

 

모든 출처: 학교 스페인어 수업시간 ppt + 수업자료 + 구글링

 

Ⅰ. 직설법

스페인어 기본 형태라고 생각하면 된다.

 

1. 직설법 현재

1) 규칙동사

스페인어 conjugation은 동사 어말 (ar/er/ir) 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그 중 hablar-comer-vivir는 불규칙이 하나도 없는 효자 동사들이기 때문에 ^__^ 앞으로도 계속 hablar-comer-vivir 동사로 정리할 예정이다.

 

* 1/2/3 = 인칭, sing. = 단수, pl. = 복수.

직설법 현재 규칙

2) 불규칙동사

- yo-go 동사

그냥 go 동사라고 부르기도 한다. 근데 요고 동사가 더 귀여우니까 난 그렇게 부른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는데, 다음 동사들은 1인칭 단수 (yo)에서 어미가 'go'가 되는 동사들이다.

→ tener (tengo), salir (salgo), valer (valgo), caer (caigo), poner (pongo), venir (vengo), traer (traigo)

 

* tener 동사는 1인칭은 yo-go, 나머지는 stem-changing이므로, 바로 뒤에 또 등장할 예정이다.

외우기 골치아프다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오히려 너무 자주 나와서 별 생각 안 드는 동사 중 하나.

 

- stem-changing 동사

어미가 아니라 어간 부분이 바뀌는 것이기에 ar/ir/er를 구분하는 것은 별 의미가 없다.

1, 2인칭 복수형은 변화하지 않는다는 점 주의!

직설법 현재 불규칙 - stem changing

ⓐ pensar, cerrar, comenzar, empezar, nevar, querer, tener, entender, preferir, perder, mentir, sentir

* preferir는 stem의 어느 부분을 바꿔야 하는지 헷갈릴 수 있는데, preferir → prefiero 와 같이 변화한다.

** sentir는 '미안해'에 해당하는 'Lo siento'를 생각하면 쉽다.

 

ⓑ encontrar, almorzar, contar, costar, recordar, volar, jugar, poder, llover, mover, soler, volver, dormir, morir

 

ⓒ pedir, conseguir, medir, reír, seguir, sevir, vestir

 

- 불규칙 (ser, ir, estar, dar, haber, saber, ver, conocer)

직설법 현재 불규칙
직설법 현재 불규칙

3) gustar 동사

ppt에서 따로 설명하고 있기에 나도 굳이 하나의 개별 챕터로 다루긴 하지만, 여자친구의 노래 가사 중.. 'Me gustas tú'를 생각하면 매우 쉽다.

gustar는 '좋아하다' 처럼 쓰이지만, 사실상 '기쁘게 하다'의 뜻이다.

(만약 '좋아하다'의 뜻이었다면 여자친구 노래 가사의 주어는 'tú'이니 넌 나를 좋아해~를 계속 반복하는 좀 이상한 노래였을 것이다.)

 

따라서 [(인칭대명사) + 간접목적대명사 + gustar 동사 + 주어] 의 형식으로 쓰이게 된다. (인칭대명사 생략가능. 강조를 위해 쓰임.)

ex. (A mí) Me gusta el café con leche, (A él) Le gustan los niños.

동사는 당연히 주어에 일치시키면 된다.

 

4) 재귀동사와 재귀대명사

목적어와 주어가 일치하는 경우. 영어의 재귀와 비슷하다. (I love myself)

영어에서 재귀형일 때 목적어로 ~self 가 쓰이는 것처럼, 스페인어에서도 특별히 '재귀대명사'가 사용된다.

Verbos Reflexivos : despertarse, levantarse, lavarse, cepillarse, ducharse, bañarse, ponserse (입다), acostarse, divertirse

 

+) 스페인어의 목적대명사 (직접목적대명사, 간접목적대명사, 재귀대명사)

스페인어 목적대명사

3인칭만 다르므로 3인칭에만 주목하면 된다. 나머지는 다 똑같음!

 

2. 직설법 단순과거

1) 규칙동사

직설법 단순과거 규칙

* er/ir 동사의 어미가 완벽하게 같다.

** ar/ir에서 nosotros형은 현재와 형태가 동일하다. 맥락으로 알아들어야 한다.

*** vosotros는 tú에 is만 붙인 거라고 생각하면 쉽다.

**** 3인칭 복수형은 나중에 접속법 conjugation에 사용된다는 점을 기억하자.

 

2) 불규칙동사

'-car', '-gar', '-zar' 동사

이건 불규칙이라기보단, 철자법의 문제이다. 'ㄲ' 소리가 나는 '-car'를 'cé'로 conjugate 시키면 '쎄' 소리를 나타내는 것이 되기 때문에 철자를 바꿔주는 것이지, 결국 소리는 같다.

→ buscar (busqué), llegar (llegué), empezar (empecé)

 

- 모음어간 종결 동사 i → y

어간이 모음으로 끝나는 동사들의 3인칭 단/복수형에서 i가 y로 바뀜. 현재분사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난다.

직설법 단순과거 불규칙 - i > y

- 어간 불규칙

얘도 뭐 딱히 규칙은 없다.. 뭐 하다 보면 tener>tuve, mantener> mantuve 같은 나름의? 규칙이 보이기도 하지만.. 결국은 외워야 함.

 

세상엔 다양한 외우기 노래가 존재하고.. 난 외우기 노래를 별로 좋아하진 않지만.. 이건 나름 좋다. 라쿠카라차 멜로디가 갱쟝히 중독성 있다. 영상에도 나오는데 yo 형만 외워도 거기서 변형하는 건 쉽다. (어간 불규칙 동사들 + 완전 불규칙 동사들이 함께 나오는 노래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MXsivRHsvas

 

정리하면 다음

→ tener (tuve), estar (estuve), poner (puse), poder (pude), traer (traje), hacer (hice), haber (hube), saber (supe), querer (quise), decir (dije), venir (vine)

 

- 완전 불규칙 : 몇 개 안되니, 그냥 외워야 한다. 1인칭 단수형만 외우면 그래도 거기서 바꾸는 건 쉽다.

직설법 단순과거 완전 불규칙

- 어간모음 불규칙 '-ir' 동사들

현재에서 나왔던 stem-changing 동사들 중 '-ir' 동사에만 해당하는 규칙들. 3인칭 단/복수 어간 모음이 변형된다.

직설법 단순과거 어간모음 불규칙 -ir

ⓐ pedir, divertirse, mentir, seguir, sentir(se), servir

ⓑ dormir, morir

 

3. 직설법 불완료과거

1) 규칙동사

직설법 불완료과거 규칙

* er/ir 동사 어미가 같다.

** ar 동사의 경우 1인칭 복수에만 띨데(´)가 있다. (띨데 찍는게 난 항상 헷갈려서.. 이런 식으로라도 기억하려 한다.)

 

2) 불규칙동사

직설법 불완료과거 불규칙은 딱 세개밖에 없다!

직설법 불완료과거 불규칙

4. 직설법 미래

1) 규칙동사

직설법 미래 규칙

* 어간에 ar/er/ir도 포함된다.

** 모든 동사 (ar/er/ir) 의 어미는 동일하다.

***1인칭 복수에만 띨데가 없다. (불완료과거와 반대)

 

2) 불규칙동사

- 어간모음 탈락

직설법 미래 불규칙 - 어간모음 탈락

ⓐ caber, haber, poder, querer, saber

ⓑ poner, salir, tener, venir

 

- 기타

직설법 미래 불규칙 - 기타

 

4. 가정법

공손한 표현으로 자주 쓰인다. 영어의 could you~, would you~, I would like to~ 정도의 표현.

Yo querría~, Me gustaría~ 처럼 많이 쓰이는 것 같다.

영어 would~ could~ 가 미래의 의미를 가지는 것처럼 가정법 역시 미래적인 의미를 가지고, 문법적으로도 미래취급.

 

1) 규칙동사

가정법 규칙

* 직설법 미래와 마찬가지로 어간에 ar/er/ir도 포함된다.

** 모든 동사 (ar/er/ir) 의 어미는 동일하다.

 

2) 불규칙동사

직설법 미래와 동일하다! 직설법 미래의 불규칙에서 뒤 부분만 ía, ías, ía, íamos, íais, ían으로 바꿔주면 된다.

 

- 어간모음 탈락

가정법 불규칙 - 어간모음 탈락

ⓐ caber, haber, poder, querer, saber

ⓑ poner, salir, tener, venir

 

- 기타

가정법 불규칙 - 기타

 

Ⅱ. 접속법

직설법만 해도 초보자는 머리가 터질 것 같지만.. 여기에 접속법이 더해진다! 하핫

 

접속법은 '일어나지 않은 일', 또는 '일어날 가능성이 없(다고 생각하)는 일' 을 나타낼 때 쓰는 동사형이다. 한국인 입장에서는 도대체 이 접속법이 왜 필요하냐! 언제 사용하냐! 가 굉장히 헷갈리고 고민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0. 접속법의 사용 맥락

을 먼저 정리해 보자. 이 부분은 학교 수업에서는 중급스페인어 1에서 다루고 있다.

[S1 + Indicativo (직설법 동사) + que + S2 + Subjuntivo (접속법 동사)] 처럼 쓰이는 경우가 많은데,

그 중에서도 특정한 맥락에 대해서만 접속법이 나타난다.

 

1) 희망, 요구, 충고, 명령, 허가, 금지를 수반하는 (즉, 의미적으로 가정적 상황 얘기하는) 동사들

 

→ (희망) querer, esperar, Ojala, desear, preferir, (요구) pedir, rogar, insistir, (충고) recomendar, aconsejar, sugerir, (명령) mandar, ordenar, (금지) prohibar, negar, (허가) permitar

 

Ex) Ojala que haya otra oportunidad de tenerte con nosotros.

Espero que le haga buen provecho.

 

2) 감정, 심리를 나타내는 동사들

: 일어나지 않은 일 / 가정적 상황이 아니어도 접속법이 사용된다.

 

→ gustar, encanar, divertir, lamentar, sentir, temer, alegrar, agradecer

 

Ex) Me alegro mucho de que me hayas invitado.

Tambien les agradezco que se hayan interesado en la "Fiesta brava."

 

3) Es adj (or 명사) que ... 형식의 문장

Ex) ¿Es posible que sean los dos a la vez?

Es natural que el macho se sirva primero.

 

* 그런데 같은 형식의 문장이지만, 너무 확실한 사실을 이야기할 때는 접속법이 쓰이지 않는다.

→ Es cierto, verdad ..

Ex) Es cierto que mi esposa era a menudo vómitos.

 

4) 의심, 부정, 불확실성을 나타내는 문장

 

→ No creer / pensar / decir / opinar / saber, No hay noticia, No es cierto / claro / evidente, No estar segur@, Dudar, No es verdad, No tener la seguridad ..

 

Ex) No sabía que en Canarias los corrida de toros estuvieran prohibidas.

No tenía la seguridad de que alcanzara a llegar...

 

5) 관계절(형용사절)의 선행사가 정해지지 않은 경우

: 확실히 정해지지 않은 대상에 대해서 이야기할 때

 

→ buscar, solicitar, encontrar, haller, necestar, tener

 

Ex) Estamos buscando una persona que pueda hablar el español. (아직 그사람이 누군지 정해지지 않음)

 

6) 부사절에서 동사가 미래, 명령 등일 때

- 시간절

→ a que / antes de que (<< 아직 일어나지 않은 사실, 항상 접속법) , hasta que, cuando, después de que, en cuanto, tan pronto como

Ex) Antes de que empecemos, ...

Esperamos a que suene la trompeta desde el palco de juez ...

- 양보절

→ por mucho / poco que, por muy ~ que, aunque

Ex) Por más que busquemos, no encontraremos dos casas iguales.

- 목적절

→ para que

Ex) Querian buscar un lugar para que continuara mis estudios.

Se acomodan para que dibujen anillos a abanicos...

 

7) 독립문에서의 접속법

- Ojalá que + 접속법 현재 : 부디 ~하기를

Ex) ¡Ojalá que el Real Madrid gane el partido este fin de semans!

- Ojalá que + 접속법 (불완료) 과거 : ~했으면 좋으련만 (가능성 낮은 현재 or 미래)

Ex) A: Ya sabe todo el mundo que el doctor no siempre dice la verdad.

B: ¡Ojalá que fuera cierto lo que dice!

- Ojalá que + 접속법 과거완료: ~했더라면 좋았을 텐데 (원망, 후회)

Ex) ¡Ojalá que el gobierno hubiera entendido la importancia de la igualdad entre mujeres y hombres!

- 정중한 표현 (querer, poder, deber, saber)

Ex) Quisiera pedirle un favor.

¿Quisieras hacerme un favor?

 

8) 가정문

- Si + 접속법 과거 + 가능법 과거: 현재 사실의 반대 (~라면 ~일 텐데)

Ex) El usario podría salir ganado si hiciera sus compras por Internet.

¿ Qué sucedería si se perdiera la oportunidad de tener contacto ... ?

- Si + 접속법 과거완료 + 가능법 과거완료: 과거 사실의 반대 (~였다면 ~였을 텐데)

Ex) Si hubiéramos podido robarlo, nos habríamos llevado a Chu a nuestra casa.

Si mi abuelo hubiera estado ahí, no lo habría reconocido.

 

9) 양태절 (como si)

- Como si + 접속법 과거: 마치 ~인 것처럼

Ex) Es una muestre de que club funciona como si fuera el símbolo de ...

- Como si + 접속법 과거완료: 마치 ~였던 것처럼

Ex) Todo los jugadores del Clásico se han emocinado como si su sueño se hubiera realizado.

... me admiran como si yo hubiera sido jugador del Real Madrid.

 

1. 접속법 현재

접속법은 주절에 시제를 맞춰주는 것이 원칙이기 때문에, 접속법에도 역시 과거-현재-미래 시제가 존재한다.

 

1) 규칙동사

접속법 현재 규칙

* 직설법 현재형 1인칭 단수 (yo) 형에서 출발하여, ar 동사는 e로, ir, er 동사는 a로 conjugate 시킨다.

 

2) 불규칙동사

- 직설법 현재 1인칭 단수형이 'o' 아닌 경우 불규칙 어간

접속법 현재 불규칙

 

- 나머지들

불규칙동사지만 사실상 불규칙이 아니다. 규칙동사와 마찬가지로 yo form에서 conjugate 시켜주면 된다.

접속법 현재 불규칙

2. 접속법 (불완료) 과거

1) 규칙동사

접속법 과거 규칙

* 직설법 (단순)과거 3인칭 복수형의 -ron을 떼어내고, ra, ras, ra, (´)ramos, rais, ran, 또는 se, ses, se, (´)semos, seis, sen을 붙인다.

** nosotros에만 띨데가 있다.

 

2) 불규칙동사

직설법 과거의 3인칭 복수형에서 불규칙 어간을 갖는 동사들은 여기서도 같은 형태의 불규칙 어간을 가진다. 똑같이 conjugation 해주면 된다.

예를 들어 tener의 직설법 과거 3인칭 복수는 tuvieron이므로, 접속법 과거는 tuviera, tuvieras, tuviera, tuviéramos, tuvierais, tuvieran.

 

3. 접속법 미래

접속법 과거와 같은 어간을 가진다. 다만 어미가 re, res, re, (´)remos, reis, ren으로 다르다. 불규칙, 규칙 모두 마찬가지.

 

4. 명령법

1) 규칙동사 (Hablar)

스페인어 명령법 (규칙)

2) (tú) 불규칙 명령형

: informal 단수 (tú) 긍정 명령형에 대해 불규칙 형태를 가지는 동사들이 있다. (8개)

이 순서대로 외우는 게 그나마 제일 잘 외워진다.. (뽄뗀쌀벤앗디베세)

명령법 2인칭 단수 불규칙형

 

Ⅲ. 진행형

 

1. 진행 시제

스페인어의 진행 시제는 [estar (시제에 맞게 변형) + 현재분사] 의 형태를 취한다.

 

2. 현재분사

1) 규칙동사

현재분사 규칙

2) 불규칙동사

현재분사 불규칙

ⓐ dormir, morir, decir, pedir, sentir...

 

Ⅳ. 완료형

 

1. 완료 시제

스페인어의 완료 시제는 [haber (시제에 맞게 변형) + 과거분사] 의 형태를 취한다.

 

2. 과거분사

1) 규칙동사

과거분사 규칙

2) 불규칙동사

과거분사 불규칙

 

Ⅴ. 자주 쓰이는 동사들

몇몇 동사만 가지고 이야기를 했으니, 몇몇 자주 쓰이는 동사들을 살펴보자!

그리고 영어와 연관지어 생각하면 매우매우 쉬울 때가 있어서.. 내가 발견? 한 영어와의 연관성도 몇 가지 적어 둔다.

 

1. AR 동사

→ hablAR, estudiAR, trabajAR, tomAR, tocAR, cantAR, bailAR, escuchAR, mirAR, nadAR, necesitAR, deseAR

* tomar 동사는 경험상 영어의 take와 의미가 거의 똑같다. 다만 tomar가 더 큰 의미라고 생각하는데, 영어의 take뿐만 아니라 take in, take over 같은 것들이 스페인어에서는 tomar 하나로 퉁쳐지는 느낌. 숙어의 경우에도 tomar en cuenta = take into account .. 이런 식이다.

 

2. ER 동사

→ comER, leER, aprendER, comprendER, corrER, bebER, vendER, tenER

* tener 동사는 영어의 tain 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영어에는 tain이란 동사 없지 않냐! 라고 할 수 있지만.. contener = contain, obtener = obtain, detener = detain, mantener = maintain .. 이런 식으로 의미가 아예 똑같이 간다. 진짜루. 검색해보세요!!

하지만 당연히 다른 언어니까 모든 상황에서완벽하게 interchangeable 하지는 않다. 다음 링크 참고.

https://www.thoughtco.com/how-to-use-tener-p2-3079603

 

3. IR 동사

→ vivIR, escribIR, recibIR, abrIR

 

이 외에도 스페인어 단어 외우다 보면 영어랑 비슷한 점이 꽤 많아서 재미있다. (영어가 워낙 로망스어 영향을 많이 받았으니 당연한 거지만) SNULT 준비하면서 SNULT 교재, 중급스페인어 교재에 나오는 단어들도 체크하면서 quizlet 으로 틈틈이 외우는 중.

https://quizlet.com/sebalbal/folders/snult?x=1xqt&i=2su8e4

 

다들 열공합시당 ~.~